殉節 後 年表
•1592년(선조 25년 壬辰 49세) 순절하신 다음 날 아우 범(範)이 시신을 거두어 4일 후 안읍(安邑) 도리동(道里洞)에 장사 지내다.
12일에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조참판(吏曹参判) 겸(兼) 동지경연춘추관(同知経筵春秋館) 의금부사(義禁府事)에 증직되다.
•1603년(선조 36년 癸卯) 호남‧호서의 유생과 선비가 금산의 순절한 곳에 순의비(殉義碑)를 세우다.
•1604년(선조 37년 甲辰)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従功臣) 일등(一等)으로 공신록(功臣録)에 오르다.
자헌대부(資憲大夫) 이조판서(吏曹判書) 兼 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学) 예문관대제학(芸文館大提学) 지경연(知経筵) 성균관(成均館) 춘추관(春秋館) 의금부사(義禁府事) 세좌좌빈객(世子左賓客)에 증직되다.
12월에 예조좌랑(礼曹佐郎) 윤광계(尹光啓)를 보내 치제(致祭)하다.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성진선(成晉善)을 특별히 보내 묘(墓)를 지킬 오가(五家)를 주어 밭 오결(五結)을 감조케 하고 또 복호(復戸)를 명하다.
•1609년(광해군 원년 己酉) 명을 내려 정려(旌閭) 하다.
•1613년(광해군 5년 癸丑) 기보(畿輔)의 선비들이 김포에 유허비(遺墟碑)를 세우다.
•1615년(광해군 7년 乙卯) 아들 완기(完基)의 효자문(孝子門)을 정표(旌表)하다.
•1636년(인조 14년 丙子) 10월 21일에 선생의 묘소를 옥천군 안남면 미산(薇山)에 이장하다.
•1649년(인조 27년 己丑) 시호(諡号)를 내려 문열(文烈)이라 하다.
•1653년(효종 4년 癸巳) 7월 17일에 예조좌랑(礼曹佐郎) 정동엽(鄭東燁)을 금산에 보내어 종용사(従容祠) 의단에 치제하다.
•1656년(효종 7년 丙申) 신도비(神道碑)를 세우다.
•1663년(현종 4년 癸卯) 예조 관리(礼曹官吏)를 보내 치제하다.
•1665년(현종 6년 乙巳) 5월 7일에 예조좌랑(礼曹佐郎) 류송제(柳松斉)를 보내어 묘소(墓所)에 치제하다.
•1670년(현종 11년 庚戌) 4월 10일에 사인(舎人) 이훤(李藼)을 보내어 의단(義壇)에 치제하다.
•1671년(현종 12년 辛亥) 5월에 예관 김총(金총)을 보내어 의단(義壇)에 치제하다.
•1673년(현종 14년 癸丑) 완기(完基)에게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을 증직하다.
•1684년(숙종 10년 甲子) 7월 17일 장령(掌令) 권달(権怛)을 보내어 의단(義壇)에 치제하다.
•1671년(숙종 25년 己卯) 근신(近信)을 보내 의단에 치제하다.
•1710년(숙종 36년 庚寅) 청주(清州)의 유생들이 청주 싸움터에 유허비(遺墟碑)를 세우다.
•1712년(숙종 38년 壬辰) 5월 15일에 부사직(副司直) 김시섭(金始燮)을 보내어 의단에 치제하다.
•1717년(숙종 43년 丁酉) 3월 16일 예조정랑(礼曹正郎) 김윤해(金潤海)를 보내어 묘소(墓所)에 치제하다.
7월 17일에 다시 예관(禮官)을 보내어 치제하다.
•1718년(숙종 44년 戊戌) 5월 7일에 예관(禮官)을 보내어 치제하다.
•1734년(영조 10년 甲寅) 6월 18일에 자손은 적손(嫡孫)이나 지손(支孫)을 가리지 않고 녹용(錄用)케 하다.
7월 19일 부수찬(副修撰) 유건기(劉健基)를 특별히 보내어 종용사 및 의총에 치제하다.
9월 25일 의정부(議政府) 영의정(領議政)을 증직하다.
•1740(숙종 16년 庚申) 7월에 선생의 문집(文集) 간행(刊行)을 명하다.
•1883년(고종 20년 癸未) 11월 21일 관학유생(館学儒生) 및 팔도(八道) 유생(儒生)의 상소(上疏)에 따라 문묘(文廟)에 배향(配享)하다.